소설의 배경은 지금의 대한민국이다. 정치 민주화는 달성을 했지만, 경제 민주화는 아직 이루지 못했다. 작가의 말에 보면 경제 민주화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이 땅의 모든 기업들이 한 점 부끄러움 없이 투명경영을 하고, 그에 따른 세금을 양심적으로 내고, 그리하여 소비자로서 줄기차게 기업들을 키워 온 우리 모두에게 그 혜택이 고루 퍼지고 , 또한 튼튼한 복지사회가 구축되어 우리나라가 사람이 진정 사람답게 사는 세상이 되는 것, 그것이 바로 '경제민주화'다."
국내에 대부분의 대기업들이 이런 것과는 거리가 멀다는게, 많은 뉴스들을 통해서 알려졌다. 이런 현실을 그냥 두고 볼 수 없는 작가는 소설을 통해서 경제 민주화를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한다. 불매운동과 시민단체를 통한 감시를 얘기한다.
이 소설은 특이하게 결말이 없다. 현재 진행중인 일들을 가지고 쓴 소설이기에 이 결말은 독자들에게 남겨둔 것으로 생각된다. 독자들이 경제 민주화를 어떻게 이루어가는 과정이 결말이 아닐까 싶다. 부디 해피 엔딩이기를...
작가의 말 마지막에 보면 진정한 작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는 글이다.
“진정한 작가이길 원하거든 민중보다 반발만 앞서 가라. 한발은 민중 속에 딛고, 톨스토이의 말이다. 진실과 정의 그리고 아름다움을 지키는 것이 문학의 길이다. 타골이 말했다. 작가는 모든 비인간적인 것에 저항해야 한다. 빅토르 위고의 말이고, 노신은 이렇게 말했다. 불의를 비판하지 않으면 지식인일 수 없고, 불의에 저항하지 않으면 작가일 수 없다. 나랏일을 걱정하지 않으면 글(또는 시)이 아니요, 어지러운 시국을 가슴 아파하지 않으면 글이 아니요, 옳은 것을 찬양하고 악한 것을 미워하지 않으면 글이 아니다. 다산 정약용의 말이다.”